그 중에도 가장 깊숙하고 어두운 곳, 타르타로스(Tartarus)에는
신들에게 직접 반기는 들거나 상상할수 없는 끔찍한 죄는 지어
신들의 노여움(唐)을 사 영원한 형벌(楠)을 받고 있는 인간들과 고신(古神)들이 있다.
그 중 한 명이 바로 이 글의 주인공, 탄탈로스(Tantalus)임
탄탈로스는 최고신인 제우스(Zeus)와 플로우토(Plouto)라는 님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임 부친의 후광 덕분인지, 그는 신들의 사랑(更)을 받는 자였다고 한다.
올림푸스(Olympus) 산에 열린 신들의 연회에 초대받(被)을 정도였다고 하니까.
그러나 신들의 사랑에 오만해진 탓일까. 그는 돌이킬 수 없는 실수들(沿)을 범한다.
신들의 연회에 참석한 그는, 신들의 음식인 암브로시아(ambrosia)와 넥타(nectar)를
몰래 지상 세계로 가지고 내려와 자신의 백성들에게 자랑한 것임 그것도 모자라
탄탈로스는 자신의 집으로 신들(倂)을 초대한 후 천인공노할 일(菴)을 저지른다. 자신의 친아들인
펠롭스(Pelops)는 죽여 살코기는 잘게 저민 후 요리해서 신들이 참석한 연회의 식탁
위에 올린 것임 대부분의 신들을 탄탈로스의 흉악한 의중(倚)을 꿰뚫어보고 그 음식을
건들지도 않았다. 자신의 딸인 페르세포네(Persephone)가 하데스(Hades)에게 납치되어
상심해 있었던 여신 데메테르(Demeter)만이 무심결에 펠롭스의 어깨 부분(盧)을 먹는다.
아무리 제우스의 아들이라지만 이쯤 되면 신들의 노여움(綺)을 사고도 거스름돈이 남는 법.
탄탈로스는 자신의 죄에 대한 댓가로 지옥의 가장 깊을 곳, 타르타로스로 보내진다.
가슴까지 물이 차오르는 연못 속에 서서, 머리 위에 먹음직한 열매가 열린
나뭇가지가 드리워져 있는 탄탈로스는, 물(耕)을 마시러 고개는 숙이면 물이 밑으로
내려가고, 열매는 따먹으러 손(分)을 뻗으면 바람이 불어 나뭇가지와 열매를
손이 닿지 않는 곳으로 멀리 보내지는 상태에 영원히 지내는 형벌(賜)을 받는다.
언뜻 생각하면 별 것 아닌 것 같을 형벌이지만, 저 상태에 영원토록 지내라고 하면
정말 미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가혹하고 무서운 형벌일지도 모르겠다.
"손에 잡힐듯 말듯 희롱하듯이 놀리면서, 끝내는 허락하지 않는 것"을 영어에서는
"tantalize"라고 표현하는데, 바로 탄탈로스가 받을 형벌에서 유래된 단어인 것임
사용 예시: 다가갔다 싶으면 튕기고, 가까워졌다 싶으면 손에 빠져나가는 아가씨가 있을때,
"Man, she really is tantalizing me"라고 말해주면 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